본문 바로가기
  • Hello Park-World
반응형
경동맥 초음파 비용과 검사 방법 및 필요한 경우 건강검진 많이들 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특히 여름철에 휴가를 맞아서 많은 분들이 건강검진을 하시는 것 같았습니다. 저는 여름엔 사실 좀 더워서 가을에 하는 편입니다. 작년에도 9월쯤에 시행했었기에 올해도 비슷한 시기에 시행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건강검진에서 경동맥 초음파에서 큰 이상이 없었기에 올해도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경동맥이랑 심장을 통해서 나오는 가장 메인이 되는 혈관인 동맥의 종류 중 하나이며 머리로 향하는 혈관으로써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 경동맥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경동맥초음파"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경동맥 초음파 정의 및 비용 경동맥 초음파는 의학적인 명칭으로 "Carotid Artery Ultraso.. 2023. 8. 7.
24시간 소변검사 목적 필요한 경우와 주의사항 오늘은 건강검진 중 요검사 항목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적인 건강검진에서는 그 자리에서 채취하는 소변만을 가지고 검진을 진행합니다. 그러다가 그 이상의 검사를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24시간 소변검사"를 진행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 이외에도 다른 호르몬 분비 장애 등을 확인하기 위해서도 시행되는 검사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24시간 소변검사의 정의, 검사가 필요한 경우와 그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24시간 소변검사 정의 24시간 소변검사는 24-hour Urine Collection이라는 영어명을 가지고 있으며 의학적인 검사 방법 중의 하나입니다. 의사는 필요에 의하여 환자의 소변을 24시간 동안 모아서 여러 가지를 측정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시행합니다. 예를 들면 신.. 2023. 8. 5.
총 빌리루빈과 간질환(직접 빌리루빈, 간접 빌리루빈) 지난번 포스팅에서 혈액검사에서 ALT, AST, r-GTP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해당 효소들은 간 등에서 만들어지며 간의 손상에 대해서 확인할 수 있는 수치라고 이야기드렸습니다. 이 외에도 하나의 지표가 더 있습니다. 이 지표는 간 질환을 직접적으로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많은 곳에서 활용이 되는 혈액검사의 결과 수치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총 빌리루빈"이라는 지표입니다. 이 지표는 직접 빌리루빈과 간접 빌리루빈을 포함한 값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빌리루빈은 직접 빌리루빈과 간접 빌리루빈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후자는 빌리루빈 생성시 초기의 형태이며 물에 용해되지 않는 형태입니다. 반면에 전자는 물에 녹아있는 형태로 간에서 분비되며 담즙을 구성하게 됩니다. 위의 내용들을 심화버전으로 이번 글에서는 .. 2023. 7. 27.
혈액검사 간질환 AST, ALT, r-GTP 및 정상 수치 오늘 알아볼 내용은 혈액검사 중 간수치 및 간질환에 대한 지표가 되는 것들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지표가 되는 항목은 "AST(SGOT), ALT(SGPT), r-GTP" 세 가지입니다. 일반적으로 피검사를 하게 되면 이 세 지표에 대해서는 검사를 시행하곤 합니다. 간기능 검사에서 사용되는 주요 효소로서 간세포에서 만들어지는 것들입니다. 이 효소들은 간의 손상을 확인(감지)하며 진단하는데 지표가 됩니다. 질환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활용합니다. 그러면 각각의 지표가 어떤 정의를 갖고 있으며 정상 수치가 얼마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AST(SGOT) 먼저 알아볼 지표는 "AST(SGOT)"입니다. 좀 더 자세히 적어보자면 Aspartate Aminotransferase 또는 Serum Gluta.. 2023. 7. 25.
반응형